맛집을 어떤 기준으로 정할 것인가? 우리나라는 유독 맛집에 진심이다. 소비되는 채널이 시대에 따라 변화할 뿐 어쩌면 가장 많이 소비되는 콘텐츠의 영역이다. 가장 원초적인 맛집 콘텐츠는 ‘입소문’이다. 맛집의 기준을 정하는 가장 대중적인 콘텐츠다. 하지만 개인의 취향이 ...
[우리나라에 사람이 이렇게 많았어요?]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온 분들은 수많은 인파에 놀라곤 한다. 그도 그럴 것이 2019년 이후로 수도권 인구 비율이 우리나라 전체 인구 대비 절반이 넘었기 때문이다. 수도권 인구 쏠림 현상, 어쩌면 당연한 일이라 생각할 ...
“요즘 핫플이 어디야?” 내가 최근 가장 많이 듣는 질문이다. 인스타나 큐레이션 플랫폼을 통해 사진을 자주 올리니, 내가 마치 맛집을 꿰고 있는 줄 아나 보다. 그리고 질문에 대답하기 전 내가 꼭 물어보는 것이 있다. “내가 좋아하는 ...
‘마라탕후루’라는 말을 아는가? 식사로 마라탕, 후식으로 탕후루를 먹는 10대들의 외식 루틴을 뜻하는 신조어다. 최근 뉴스와 매체에서 자주 다뤄지는 마라탕은 어떻게 인기를 얻게 되었을까? 어쩌면 가장 이국적인 음식 ‘마라’는 어떻게 가장 까다로운 10대들의 입맛을 사로잡았을까? 오늘은 ...
케이팝, 케이 콘텐츠, 케이푸드 등 한국문화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점점 커진다. 그중 떡볶이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려 한다. 떡볶이는 사실 다른 음식보다 세계화가 되기에는 한계가 많은 음식이었다. 떡볶이의 특징 때문인데 우리가 좋아하는 매콤하고 쫄깃한 이 맛을 ...
외식업의 본질은 뭘까? 당연히 음식의 맛이겠지만 그 영역을 조금 더 확장한다면 조금 더 신경 쓸 부분이 있다. 조금은 지루하지만, 외식업의 탄생 배경을 생각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주막’, 외국의 경우 ‘레스토랑’의 형태로 시작된 것이 처음이다. 이 두 ...
채식에 대한 오해 최근 채식을 기반으로 한 레스토랑에 초대되어 다녀왔다. 솔직히 그다지 채식에 대해 호의적이지 않았던 나는 “맛이 심심할 거야”, “먹어도 배고플 것 같은데”와 같이 부정적인 생각만 가득했던 것 같다. 고기를 워낙 좋아했던 나에게 채소는 ...
외식업은 우리나라 자영업의 현실을 가장 극명하게 나타내는 산업이다. 그런데 최근 자영업 비중이 근로자 기준 20%로 역대 최저라는 소식을 들었다. 그리고 곧 궁금해졌다. 요즘 외식업을 기준으로 자영업의 상황은 어떻고 또, 어떤 부분을 생각해야 하는지 말이다. 사회적 ...
스시, 소고기, 파스타, 커피, 차 등 다양한 종목에서 오마카세가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이러한 트렌드는 젊은 층을 시작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데, 일명 파인다이닝과 같이 높은 가격대의 고급 코스요리를 접하기 어려웠던 것과 비교해 보면 지금의 오마카세 ...
한국인은 고깃심? 대한민국은 지금 고기 전성시대다. 말 그대로 식탁에 어떤 형태로든 육류 없는 식사가 없을 정도로 우리 생활에 육류가 조용히 자리 잡고 있다. 심지어는 한식에서 빠질 수 없는 ‘쌀’의 소비량이 육류 소비량에 위협을 받고 있기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