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샹파뉴 지역에서 전통 방식에 따라 만들어지는 탄산이 있는 스파클링 와인(sparkling wine), 샴페인(champagne). 샴페인 하우스마다 우아한 풍미, 미세한 거품, 선별한 포도, 블렌딩 비율, 와인 메이커의 철학, 떼루아의 특성 등을 내세우며 다양한 샴페인을 선보인다. 우리는 취향대로 ...
역류성 식도염으로 한참 고생하고 있을 때 병원에 가니 처방전과 함께 피해야 할 음식을 알려주셨는데 밀가루, 튀긴 음식, 커피 등은 최대한 멀리하라고 했다. (의사 선생님 단골 멘트?!) 소화 안 되는 밀가루는 밤에 먹지 말라는 둥 다이어트 ...
오렌지색 레이블이 인상적이었던 루 뒤몽(Lou Dumont). 와인을 소재로 한 만화, “신의 물방울”에도 등장하며 많은 이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켰던 와인이 있다. 놀랍게도 이 와인을 만든 사람은 프랑스 부르고뉴 지역 토박이도 아니고 대대손손 포도밭을 물려받아 와인을 양조한 이도 ...
스테이크 구울 때 풍미를 올려주는 너, 평범한 식빵 조각에 고소함을 더해주는 너, 카레에 농밀함과 깊이를 주는 너. 버터. 마트를 구경하다 보면 유제품 코너에 버터 종류가 꽤 많다는 걸 알 수 있다. 버터는 우유에 있는 지방만 ...
샴페인은 크게 특정한 해에 수확한 포도로만 만드는 빈티지 샴페인(vintage champagne)과 여러 해에 걸쳐 수확한 포도를 사용해 만드는 논 빈티지 샴페인(non-vintage champagn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요즘은 멀티 빈티지 샴페인도 있어서 레이블에 적힌 숫자로 베이스 빈티지 등을 ...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운동했으니, 단백질이 풍부한 걸로 챙겨 드세요!’ 필라테스 운동이 끝나고 후들거리는 다리를 끌며 나오는데 필라테스 강사가 친절하게 말을 건넨다. 뭐 먹지? 삶은 계란? 닭가슴살? 아니면 아보카도 주스? 뭘 먹어야 기왕이면 운동한 티가 팍팍 나는 ...
샴페인 포일을 벗기면 드러나는 코르크를 꽁꽁 감싼 철사, 넌 뭐냐? 이름은 뮈슬레(muselet)로 탄산이 가득한 스파클링 와인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스파클링 와인은 코카콜라 병뚜껑과 같은 마개를 사용하기도 한다.) 뮈슬레는 기본적으로 탄산 가스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
프랑스 부르고뉴 화이트 와인이라면 어느 지역이 제일 먼저 떠오르나요? 뫼르소(Meursault)나 샤샤뉴 몽라셰(Chassagne-Montrachet)? 아무래도 유명하고 훌륭한 품질의 샤르도네 산지이니 들어봤을 법하다. 아니면 꼬뜨 샬로네즈(Côte Chalonnaise)의 륄리(Rully)? 부르고뉴 화이트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면서 빼놓을 수 없는 곳이 바로 ...
프랑스 부르고뉴(Bourgogne) 지역은 귀한 와인이 꽤 많이 탄생하는 곳으로 돈을 쥐고 있어도 생산량이 적어 와인을 구할 수 없거나 하루아침에 와인 가격이 10배는 거뜬히 뛰어 버리는 일이 종종 일어나는 곳이다. 공급은 적은데 수요가 많으니 당연한 결과이기도 ...
와인은 맥주보다 알코올 도수가 높고 위스키보다는 낮다고 생각하는가? 꼭 그런 것은 아니다. 와인병을 유심히 보면 ABV(alcohol by volume) 표시를 볼 수 있는데 알코올의 양, 다시 말해 음료 부피 당 에탄올의 양을 백분율(%)로 보여준다. 와인에 들어 ...